02월 셋째주 아파트 가격 동향 |

시중은행의 기준금리 하락세와 신용규제 완화 등으로 집값 하락폭은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대형 단지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매물이 급감한 송파와 강동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둔화되고 있다.


23일 한국부동산진흥원에 따르면 2월 셋째주(20일 기준) 전국 주간 집값 동향을 살펴본 결과 전주 대비 매매가격이 0.38% 하락했고, 전주(-0.43%)에 비해 감소했다. 수도권(-0.49%→-0.44%), 서울(-0.28%→-0.26%), 5광역시(-0.48%→-0.43%), 8도(-0.24%→-0.21%), 세종시(-0.24%→-0.21%) -0.99%→-0.80%).

서울의 경우 특히 남서부 지역에서 하락폭이 컸다. 금천구(-0.57%→-0.54%)에서는 강서구 시흥·독산동 중심으로 매매가 밀집(-0.54%→-0.44%) 내발산·마곡·가양동·관악구 중심(-0.54%→-0.44%) -0.54% → -0.44%). 신림구(-0.50%→-0.39%)·봉천동 본관 일대에 많은 비가 내렸다. 강북구(-0.35%→-0.38%)에서는 미아동이나 번동 등 대규모 복합단지가 조성되었으며, 광진구(-0.22%→-0.38%)는 광장/중곡/자양동 및 도봉구(-0.46%→-0.36%)는 정체의 영향을 받아 도봉과 쌍문동을 중심으로 떨어졌다.

대장단지 급매물이 나오면서 저가 거래가 많았던 송파(-0.19%→-0.13%)와 강동(-0.41%→-0.31%)에서는 하락세가 주춤하는 모습이다. 잠실동 대장단지 ‘엘에스’는 지난해 말 이후 21억4500만원(1984㎡)을 계약했다. 지난달 30일 18억7000만원(4층)으로 하락한 것과 비교하면 2억7500만원의 1차이 이겼다.

부동산연구원 관계자는 “매수자 시장은 추가 가격 하락을 예상하고 버티고 있어 빠른 분양에 거래가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반적으로 감소폭이 줄었다”고 말했다.

경기도(-0.64%→-0.55%)는 신도시나 대규모 단지 신설이 많은 지역에서 하락세가 눈에 띄었지만 하락세는 둔화됐다. 수원영통구(-1.19%→-0.93%)는 매탄/영통동 및 광교뉴타운 일대, 화성시(-1.06%→-0.91%)는 동탄뉴타운 및 반월/병점동, 하남시(-1.21%→-0.84%) 미사신도시와 위례신도시 등 대형 단지 위주로 하락했다.

정부가 첫 신도시특별법을 실현한 ‘고령화계획도시 유지·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발표하자 성남 분당구(-0.59%→-0.49%), 군포시(-0.92%→-0.67%) , 안양 동안구(-부천(-0.35%→-0.30%)도 하락폭 축소, 일산동구(-0.62%→-0.69%), 일산서구(-0.69%→-0.69%) 계속 떨어졌다.

전세시장은 신규 입주물량에 따른 공급증가와 백아웃 우려에 따른 수요감소 등으로 임차인에 대한 우위를 이어가고 있다. 급매물 일부가 큰 방울로 소진되면서 낙폭이 소폭 누그러졌다. 동작구의 하락폭(-1.56%→-1.69%)은 흑석뉴타운 입주로 큰 폭이었다. 재입고 수준의 영향도 받는 강남구(-1.46%→-1.24%)도 개포·대치·도곡동 등 대형 단지를 중심으로 급락했다.

반응형


728×90

작은


원천

집값 또 하락…송파·강동 매진?

뉴시스 그래픽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