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을 찾아서


광우병을 걱정하면서 스테이크를 먹으면 맛도 없고 몸에도 좋지 않다. 반대로 벌레를 먹고 보기 흉한 야채나 과일은 유기농일 경우 신선하고 맛이 좋습니다. 주말농장에서 방금 따온 상추를 씻어내고 직접 만든 삼겹살 구이를 드셔보세요. 주말농장을 하시는 분들은 그 ‘맛’을 잊지 못하고 해마다 농장을 다시 찾게 되는 것 같습니다.

주말 농장에서 재배되는 채소는 얼마나 안전합니까? 농장마다 다를 수 있지만 저희 농장에서는 관리자가 봄농사를 준비하기 전에 토양 살충제를 한 번 살포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농작물이 자라는 동안 농장주가 살충제를 몰래 살포하여 잘 자라게 한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화학비료를 기본비료로 쓰지 않는 것도 고마운 일이다. 마당 한쪽에는 밭에서 뽑은 풀을 모아 버리는 곳이 있는데 관리인은 그곳에서 생산된 퇴비를 이듬해 봄 밭으로 가져가 빗질을 하고 땅을 나눕니다.

작년 봄에 농사를 지을 때 땅이 매우 비옥한 것을 느꼈습니다. 모든 문화는 매우 잘 성장했습니다. 과일 채소가 병에 걸렸지만 거름이 부족해서가 아닙니다. 그러나 가을에 이상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양배추를 재배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화학 비료를 사용했습니다. 비료의 색깔과 모양으로 미루어 어떤 밭에는 순수한 질소비료가, 어떤 밭에는 복합비료(질소·인산·칼륨을 혼합한 비료)를 뿌렸다.

화학비료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했는데 금방 답이 나왔다. 비료를 뿌린 밭의 배추는 우리 밭의 배추와 크기가 달랐다. 배추를 심기 전에 자루에 담아 유기질 비료를 밭에 뿌립니다. 나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배추가 제대로 채워지지 않아서 반반 배추를 심은 것 같았습니다. 다른 들판의 절반에 불과했습니다. 수십 년간 농사를 지으신 아버지께서 “비료 없이 키운 배추는 질겨서 못 먹겠다”고 조언해 주셨어요.

화학비료가 없던 시절 배추는 어떻게 자랄까요? 내가 어렸을 때 배추밭에서는 항상 똥 냄새가 났다. 질소는 잎이 많은 채소에 가장 필요하며 썩은 사람의 거름은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질소 비료입니다. 하지만 직접 기른 배추를 먹고 얼굴이 부어오르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배추는 재배가 어려워 많이 심지 않았고, 김치를 담글 때 배추보다 무김치를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화학비료가 보편화되기 전에는 배추김치가 남자들의 식탁에만 오르던 시절을 기억하는 어르신들이 있다.

금비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예전에는 인조비료가 비쌌다. 초등학교 때도 숙제를 위해 퇴비를 내야 했다. 화학비료는 식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인공 성분이지만 토양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것으로 자란 식물은 몸에 해롭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땅과 물을 오염시키고 땅의 힘을 감소시킵니다. 한국은 OECD 국가 평균보다 10배나 많은 화학비료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올해는 화학비료 없이 배추를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